본문 바로가기
사회

주키니호박 유전자 변형 어떤일이길래 반품까지?

by KS지식 - 경제 2023. 4. 3.
반응형

소비자 및 유통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주키니 호박은 즉시 판매를 중단하고 4월 2일(오늘)까지 전량 수거·매입해 폐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 기업이 신규 개발하며 출원한 주키니 호박 종자가 LMO로 판정된 건데, 해외에서 종자를 수입한 뒤 국내 검역 절차를 밟지 않고 판매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런데 LMO 주키니 호박이 유통되기 시작한 건 최근이 아니라 2015년부터였습니다. 뒤늦게 조치가 내려진겁니다.

 

주키니 호박은 돼지호박 등으로 불리며 일반 가정에서 주로 소비하는 애호박, 단호박 등과는 다른 품종이다.

농식품부 소속 국립종자원은 국내에서 생산된 주키니 호박 종자 일부가 승인되지 않은 유전자 변형 생물체(LMO)로 판정됨에 따라 지난 달 26일 오후 10시부터 국내산 주키니 호박의 출하를 중단한 바 있다. 이후 전국의 모든 주키니 호박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LMO 여부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농가 484곳에서 주키니를 실제 재배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농가의 주키니 호박 시료를 채취해 유전자 증폭(PCR) 검사를 실시한 결과 467곳은 LMO가 아니고 17곳은 미승인 LMO인 것으로 판정됐다.

이에 국립종자원은 미승인 LMO 재배 필지에 대한 폐기를 진행했다. LMO가 아닌 주키니 호박 재배 농가에 대해서는 1~2일에 걸쳐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를 모바일, 현장 배부 등으로 발급했으며 3일부터 출하를 전면 허용했다.

다만 소비자 및 납품업체에서 LMO가 아님을 알 수 있도록 향후 2주 동안에는 출하 시마다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를 첨부해 상품을 유통하도록 했다.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는 출하품 상자에 부착, 송품장에 별첨, 운송업체를 통한 대리 전달, 온라인 판매 시 제품 상세 페이지에 게재 등 판매 여건에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농식품부는 유통업체 및 도매시장에서도 전체 음성 농가 현황과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를 제공했다. 해당 판매업체는 LMO 여부를 확인 후 상품을 납품받고 판매 시에는 안내문 게시 등의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협조 요청했다.

■ 비빔밥에서 발견된 '주키니 호박'…"애호박이다" 거짓 해명

정부는 국내에 유통 중인 모든 주키니 호박을 수거, 폐기하고 보상 절차를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미 조리한 상태여도 반품이 가능하고도 안내했습니다.

교육부도 학교 급식으로 국내산 주키니 호박을 제공하는 것을 한시적으로 중단해달라고 공지했습니다.

그렇다면 지침이 내려진 후 실제 현장에서 사용 중단, 수거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을까요.

KBS로 들어온 제보입니다. 10여 년 넘는 조리사 경력을 갖고 있는 A씨는 지난달 29일 서울 목동 이마트 안에 있는 푸드코트를 찾았습니다.

일행과 비빔밥을 주문해 나눠 먹던 중 주키니 호박이 포함된 것을 보고 일단 골라내고 먹었다고 합니다.

식사를 마친 뒤 고객센터를 통해 회수 조치가 내려진 주키니 호박이 식재료로 들어간 데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고 합니다.

알아보고 연락을 주겠다던 이마트 측은 해당 입점 업체의 설명을 들어 "주키니 호박이 아니라 애호박이 맞다"고 설명했다고 하는데요. 해당 식당이 손질해 놓은 애호박 사진도 확인시켜줬다며 고객이 잘못 본 거란 취지로 이야기한 겁니다.

사진을 찍어두지는 않았지만 조리 관련 업무에 종사했었다는 신분을 밝힌 뒤 분명히 주키니 호박임을 확인했다고 강하게 항의하자 그제 서야 입점 업체는 "사실은 애호박이 아니라 주키니 호박을 썼다"고 시인했고 마트 측도 이를 확인해 고객에게 사과했습니다.

■ 주키니 호박·애호박 어떻게 다른가

(좌) 주키니 호박 (우) 애호박


주키니 호박은 애호박보다 크고 통통해 일명 '돼지 호박'으로도 불립니다. 보통 애호박보다는 단맛이 떨어져서 전이나 볶음보다는 찌개나 국에 넣어 먹고, 중국 요리 재료로도 쓰입니다. 애호박보다 크기도 커서 대량 식재료로 선호됩니다.

눈으로 봐도 주키니 호박과 애호박은 크기와 색깔에서 확실히 구분됩니다. 하지만 껍질을 잘라내고 식재료에 넣으면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A씨는 "대형마트 내 푸드코트에서조차 이런 일이 생긴다면 일반 식당은 어떻겠냐, 규모가 더 작은 일부 식당에서는 이미 구매한 주키니 호박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습니다.

■ 이마트 "사용 금지 안내는 했지만... 확인할 방법은 없어"

이마트 측은 농식품부의 주키니호박 판매 중단 결정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를 하고 있지 않으며 푸드코트 등 입점 업체에도 이에 대한 안내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입점 업체기 때문에 이같은 내용을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할 강제성을 가질 수는 없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입점된 푸드코트 매장에서 주키니 호박을 사용한 점, 고객 문의 시 매장에서 사용을 부정해 결과적으로 잘못된 답변을 드린 점에 대해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습니다.


■ 정부, '뒷북·반쪽 지침' 비판…'유전자 변형식품' 안전성 우려도

대형마트의 관리 책임 문제도 있지만 회수, 폐기 조치만 내리고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방법을 고민하지 않은 정부의 문제도 있습니다.

유통단계 판매 중단은 식약처가, 폐기는 해당 업체가 하고 사후 정산은 농식품부와 식약처가 나눠서 하게 돼 있는 절차도 혼선이 생길 수 있는 부분입니다.

갑작스러운 회수, 폐기 조치에 주키니 호박을 재배하던 농가도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입니다.

다음 달 3일부터 유전자 변형 생물체가 나오지 않은 호박에 대해선 출하를 허가할 예정이지만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큽니다.

농가는 자칫 이 같은 불안감이 주키니 호박에 대한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을지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례적으로 전면적인 회수, 폐기 조치를 내리면서도 LMO 농산품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고 짧은 설명만 덧붙인 것도 문제입니다.

농식품부 보도자료에서 미국 식품의약국(FDA), 동식물검역국(APHIS) 및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 등은 해당 LMO가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일반 호박과 같은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주키니 호박(돼지호박) 농가 484곳 중 467곳(96.5%)은 LMO 종자를 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농식품부 소속 국립종자원은 국내에서 유통되는 주키니 호박 일부가 미승인 LMO임을 확인하고 국내 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재배 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농가 484곳 중 17곳(3.5%)이 미승인 LMO를 재배하고 있었고 대다수인 467곳은 이 종자를 재배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이에 종자원은 LMO를 재배하지 않은 농가 467곳에는 1∼2일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를 배부했고 3일부터 출하를 허용하기로 했다.

국내산 주키니 호박 출하 재개는 지난달 26일 출하 중단 이후 8일만이다.

종자원은 다만 소비자와 납품업체 등이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2주간은 출하 시 ‘주키니 호박 출하 허용 확인서’를 첨부해 유통하도록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6일 “국내산 주키니 호박 종자 일부가 미승인 유전자 변형 생물체(LMO)로 확인됐다”면서 “판매를 중단하고 소비자나 유통업체가 보관 중인 주키니 호박을 전량 수거해 폐기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산 주키니 호박을 사서 보관 중인 소비자나 소매상은 지난달 29일부터이달 2일까지 구매처나 가까운 대형마트(롯데마트·이마트·하나로마트·홈플러스)에 호박을 반품할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지난해 외국산 주키니 호박 종자 수입 검역 절차에서 LMO를 발견했다. 국립종자원은 국내에서 신품종 등록을 위해 출원되는 주키니 호박 종자에 대해서도 올해부터 LMO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국내 A기업이 신규 개발해 출원한 주키니 호박 종자가 LMO로 판정됐으며, 해당 종자는 B기업이 판매한 종자를 사용해 육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국립종자원이 주키니 호박 종자(121종)와 애호박 종자(126종) 전체에 대해 LMO 검사를 실시한 결과 B기업의 주키니 호박 종자 2종이 LMO로 확인됐다.



GMO반대전국행동, 환경농업단체연합회, 전국먹거리연대 등은 "어떤 경로를 거쳐 유전자 변형 종자가 들어왔고 어떤 회사가 수입했으며 그 과정에 정부는 제대로 역할을 했는지, 또 2015년부터 얼마만큼의 양이 시중에 유통됐는지 등을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