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의 달인

삼성 구글 결별, 삼성 빙 채택하나? 구글 주가 급락 이유?

by KS지식 - 경제 2023. 4. 18.
반응형

구글 주가 급락 이유? 삼성 구글 결별, 삼성 빙 채택하나? 

‘삼성전자와의 결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구글 주가가 17일(현지시간) 3% 가량 급락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이날 뉴욕증시에서 전 거래일보다 2.78% 떨어진 106.42달러(약 14만원)에 마감했다. 장중에는 약 4% 하락하기도 했다.


전날 뉴욕타임스(NYT)는 구글 검색 엔진을 갤럭시폰에 기본 탑재해 온 삼성전자가 오픈AI의 챗GPT를 반영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Bing)을 채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소식에 시장에 전해지자 알파벳 주가가 크게 출렁인 것으로 관측된다.

그동안 삼성 스마트폰에 구글이 기본 검색엔진으로 탑재되면서 구글이 거둔 연간 매출은 약 30억달러(약 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사람처럼 묻고 답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가미된 새로운 형태의 검색 엔진을 선보였지만, 구글은 아직 새로운 버전을 내놓지 못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1620억달러에 달하는 검색 엔진 시장을 지배했던 구글이 삼성발 충격으로 인해 잠재적인 균열 상태에 놓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삼성전자와 구글은 검색엔진 교체설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으며, 아직 협상이 진행중이라고 NYT는 덧붙였다.

한편 알파벳 주가가 하락한데 반해 MS 주가는 0.93% 상승했다.

 

세계 최대 검색엔진 구글이 20년 넘게 지켜온 주도권에 균열을 낼 위기에 놓였다. 삼성전자가 자사 스마트폰의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으로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이 소식만으로 모기업 알파벳 시가총액은 하룻밤 사이에 51조원이나 증발했다.

1. 알파벳 클래스 A [GOOGLE]


알파벳 클래스 A 주식은 18일(한국시간) 마감된 나스닥거래소에서 2.66%(2.9달러) 하락한 105.9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검색엔진 교체 검토 소식을 전하면서 “구글 직원들이 충격에 빠졌다. 구글은 지난해 1620억 달러로 평가된 검색엔진 시장을 지배해왔다. 처음으로 잠재적 균열이 다가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2010년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의 운영체제로 구글 안드로이드를 채택했다. 구글은 12년 넘게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기본 검색엔진으로 사용됐다. 구글은 이를 통해 연간 30억 달러(약 4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구글의 입장에서 매출 감소보다 뼈아프게 다가오는 것은 AI 플랫폼 경쟁에서 밀렸다는 위기감이다. 1998년 설립돼 2000년대부터 검색엔진 시장을 장악해온 구글은 최근 AI 플랫폼 경쟁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 주도권을 내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2월 자사 검색엔진 빙에 대화형 AI GPT 기능을 탑재했다. 이를 통해 검색엔진 시장에서 빙의 점유율을 늘려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 챗GPT는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100억 달러의 투자를 받은 미국 스타트업 오픈AI에서 개발돼 지난해 11월 등장했다. 구글은 지난달 AI 바드를 공개했지만 챗GPT에 쏠린 세상의 관심을 돌려놓지 못했다.


구글도 마이크로소프트 못지않게 AI를 적극적으로 개발해왔다. 2016년 3월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프로기사였던 이세돌 9단과 첫 대국을 펼친 바둑 AI 알파고는 구글 딥마인드의 작품이다. 이후에도 람다나 바드 같은 AI를 개발했지만, 챗GPT처럼 열광적인 반응을 끌어내지 못했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검색엔진을 빙으로 교체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검색 시장 점유율을 늘릴 디바이스(전자기기)를 추가로 얻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날 나스닥거래소에서 0.93%(2.66달러) 상승한 288.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다만 삼성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는 모두 스마트폰 검색엔진 제휴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

구글이 이날 날린 시총은 삼성전자로부터 받아온 연간 매출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컸다. 미국 증권시장 정보 사이트 컴퍼니스마켓캡닷컴에서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지난 15일까지 1조3970억 달러였던 알파벳 시총은 이날 1조3580억 달러로 줄었다. 하룻밤 사이에 390억 달러(약 51조4800억원)가 시총에서 사라졌다.

알파벳은 세계 시총 순위에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이상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기업 아람코에 이어 4위다. 5위인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닷컴까지 세계 5개 기업만이 ‘시총 1조 달러 클럽’에 가입돼 있다.

2. 찰스슈왑 [SCHW]


미국 증권중개사 찰스슈왑은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3.94%(2달러) 상승한 52.77달러에 마감됐다. 본장 개장을 앞두고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 전망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한때 불거졌던 파산설을 다소나마 잠재웠다.

찰스슈왑의 분기 실적에서 매출은 51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미국 금융정보업체 팻트셋에 취합된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51억4000만 달러를 소폭 밑돌았다. 하지만 순이익이 1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분기 14억 달러보다 늘어났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93달러로 팩트셋 전망치인 0.9달러를 상회했다.

찰스슈왑은 지난달 실리콘밸리은행(SVB), 시그니처은행, 실버게이트은행 같은 미국 중소형 은행의 연이은 파산·폐업 사태에서 다음 순서로 무너질 금융기관으로 지목됐다. 이로 인해 찰스슈왑의 1분기 실적은 향후 미국 은행권의 금융 안정성을 엿볼 가늠자로 여겨졌다. 찰스슈왑은 이날 선방한 실적을 발표하고 위기를 넘길 기회를 잡았다.

3. 로블록스 [RBLX]


미국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12.01%(5.49달러) 급락한 40.21달러에 장을 끝냈다. 3월 일일 활성 사용자당 예상 평균 ‘부킹(예약)’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로블록스에서 매출은 결국 화폐처럼 사용하는 가상통화 ‘로벅스’의 판매량을 나타내는 부킹을 통해 나타난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 구글 직원들은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의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빙으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큰 충격에 빠졌다. NYT에 따르면 그동안 구글이 삼성전자 스마트폰 기본 검색엔진으로 탑재되면서 올린 연간 매출은 30억달러(약 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스마트폰 기본 검색엔진의 트래픽, 광고수익 등을 추정한 숫자다.

최근 MS는 스타트업 오픈AI의 언어모델인 GPT-4 를 탑재한 ‘빙’으로 25년간 검색 시장을 지배해 온 구글에 도전하고 있다. 챗봇이 탑재된 검색엔진은 기존 구글 검색보다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맞춤형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달 MS는 GPT-4 탑재 이후 한 달만에 빙의 일일 활성 사용자수(DAU)가 1억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다급하게 지난 3월 자체 언어모델을 탑재한 ‘바드’ 챗봇을 서비스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검색 서비스에는 탑재하지 못했다.

다양한 사업부문에서 매출이 나오는 MS와 달리 구글은 전체 시장에서 아직까지 80% 이상을 독점하고 있는 검색 시장에서 전체 매출 60% 가량이 나오고 있다. 때문에 검색 시장 점유율이 조금만 낮아져도 구글에는 커다란 타격이 될 수 있다.

삼성전자와 구글은 이같은 검색엔진 교체설에 대한 NYT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다만 이같은 교체설이 협상을 위한 전략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NYT는 삼성전자와 구글의 협상이 현재 진행 중으로, 삼성이 구글과 계약을 이어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한 테크업계 관계자는 “애플과 대항하는 안드로이드 진영에 삼성전자가 구글과 함께 있기 때문에 쉽게 기본 검색엔진이 교체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갤럭시폰의 탑재된 기본 검색엔진도 구글이다.

한편 NYT에 따르면 구글은 AI 기술로 가동되는 완전히 새로운 검색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 프로젝트명은 ‘마기(Magi)’로 디자이너, 엔지니어, 임원 등 160여명이 투입됐다. ‘스프린트 룸(sprint room)’으로 불리는 집중 협업 공간에서 최근 버전을 테스트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6일(현지 시간)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에 탑재하는 기본 검색 서비스를 구글 대신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구글 검색 사업의 첫 번째 잠재적 균열이 발생했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2010년 이후 출시한 스마트폰에 구글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를 적용하며 구글 검색 서비스를 기본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탑재했다. 시장 조사 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구글은 전 세계 검색 시장에서 지난해 기준 93%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1위 업체다.

 

하지만 최근 들어 MS의 검색 서비스인 빙이 오픈AI의 최신 대규모 언어모델(LLM) ‘GPT-4’를 적용하며 상황이 달라졌다. 이용자들이 검색 시장 1위 사업자인 구글 대신 새로운 선택지를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IT 업계에선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구글의 검색 시장 1위 지위가 흔들리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구글은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인 ‘바드(Bard)’를 미국과 영국 등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공개한 상태다.

삼성전자는 NYT 보도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구글, MS와의 협력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항상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업하는 길을 열어두고 있지만 구글과의 오랜 협력 관계 등을 고려할 때 파트너사 선정 시 구글이 우선 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구글의 검색 서비스를 갤럭시 스마트폰에 적용하며 매년 30억 달러(약 3조9300억 원)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전자가 검색 서비스를 교체할 경우 구글 매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예상된다. 위기를 느낀 구글은 AI 기능을 검색 서비스에 빠르게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