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의 달인

삼성전자 주가, 휴대폰 시장 1위 재탈환하며 주가 전망은?

by KS지식 - 경제 2023. 4. 19.
반응형

삼성전자 주가, 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향방은 어떻게 될까?

애플 삼성전자 휴대폰 시장 치열한 공방전

 

삼성전자가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 자리를 1분기 만에 되찾았다. 올 초 출시한 갤럭시 S23 판매 호조에 따른 결과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의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2%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보다 2%포인트 오른 수치다. 지난 2월 갤럭시 S23 시리즈 출시 등 신제품 효과로 보인다. 카날리스는 "1분기 삼성전자는 전 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인 유일한 선두 업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아울러 애플에 1%포인트 차이로 1위 자리를 재탈환했다. 지난해 4분기 아이폰14 시리즈 출시에 힘입어 점유율 25%를 기록했던 애플은 올 1분기 21%를 나타내며 4%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지난해 1분기 6%포인트에 달했던 두 회사 간 점유율 격차가 1%포인트로 좁혀지면서 갤럭시 신제품 출시 효과로 통상 1분기 우세를 나타내던 삼성전자로서는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됐다.

삼성전자, 애플에 이어 3위는 중국의 샤오미가 차지했다. 샤오미는 올 1분기 점유율 11%를 기록했다. 오포와 비보는 각각 10%, 8%로 4위, 5위다.

올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12% 규모가 줄며 5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가격 인하와 판촉 행사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으로 저가 단말 소비가 부진했다는 것이 카날리스의 분석이다.

 

지난해 4분기 애플에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내줬던 삼성전자가 갤럭시 S23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1분기 다시 1위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2위 애플은 아이폰14 프로 수요에 힘입어 점유율 21%로 삼성전자의 뒤를 바짝 쫓았습니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의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2%로 애플에 1% 포인트 차이로 앞섰습니다.

카날리스는 "1분기 삼성전자는 전 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인 유일한 선두 업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1분기 점유율과 비교해서 삼성전자 점유율은 2%포인트 하락했고 애플은 전년 동기 대비 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통상 1분기 6% 포인트에 달했던 두 회사 간 점유율 격차가 줄어들면서 삼성전자로선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입니다.


이어 중국 3대 스마트폰 제조사 1분기 점유율을 보면 샤오미가 11%, 오포 10%, 비보 8%로 삼성전자와 애플의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12% 규모가 줄며 5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카날리스는 이번 분기 가격 인하와 판촉 행사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으로 저가 단말 소비가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카날리스는 "전반적인 스마트폰 수요 회복을 예측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면서 "향후 몇 분기 재고 감소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이 개선될 것이고 5G 대중화와 폴더블폰이 새로운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봤습니다.

올해 1분기 동안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시총)이 280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총 1위 삼성전자는 올 1분기에만 시총이 50조원 넘게 가장 많이 증가했고, 에코프로와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시총 증가율만 해도 300%를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총 1위인 삼성전자는 올해 초 331조3천229억원이던 시총이 3월 말에는 382조660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50조7천431억원 이상 가장 많이 불어났다. [사진=아이뉴스24 DB]

19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발표한 '2023년 1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번 조사 대상 주식종목 2천558곳의 올해 연 초 시총 규모는 2천11조 원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3월 말에는 2천291조원으로,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280조원(13.9%↑) 넘게 상승했다.

2천50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올 1분기에 시총 외형이 오른 종목은 1천729곳(67.6%)이었고, 하락한 곳은 774곳(30.3%)으로 집계됐다. 55곳(2.2%)은 시총 변동이 없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시총이 증가한 곳이 감소한 곳보다 배(倍) 이상 많은 흐름을 보였다. 이는 올 1분기 주식시장이 점차 좋아지고 있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주식종목 역시 올해 1월 초 228곳에서 3월 말에는 258곳으로 최근 3개월 새 30곳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 연 초 대비 3월 말에 시총이 1조원 넘게 커진 종목은 33곳으로 조사됐다. 이 중 4개 종목은 시총 외형만 10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총 1위인 삼성전자는 올해 초 331조3천229억원이던 시총이 3월 말에는 382조660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50조7천431억원 이상 가장 많이 불어났다.

LG에너지솔루션(LG엔솔)도 같은 기간 104조3천640억원에서 136조6천560억원으로 올 1분기에 32조2천920억원 넘게 높아졌다. 에코프로비엠(12조8천217억원↑)과 에코프로(10조871억원↑) 두 종목도 각각 10조 원 넘게 시총 덩치가 성장해 이목을 끌었다.

이 외 ▲SK하이닉스(9조3천912억원↑) ▲삼성SDI(9조1천456억원↑) ▲포스코홀딩스(8조1천188억원↑) ▲기아(7조9천45억원↑) ▲LG화학(7조6천239억원↑) ▲포스코퓨처엠(6조2천745억원↑) 종목 순으로 최근 3개월 새 시총 증가액이 커졌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 초 58조8천608억원이던 것이 3월 말에는 56조851억원으로 올 1분기에만 2조7천757억원 이상 시총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 외 올 1분기 시총이 1조원 넘게 내려앉은 곳은 5곳 더 있었다. ▲LG생활건강(1조8천741억원↓) ▲HD현대중공업(1조5천535억원↓) ▲삼성생명(1조5천200억원↓) ▲셀트리온(1조4천340억원↓) ▲엔씨소프트(1조3천172억원↓) 종목의 시총이 1조원 넘게 하락했다.

올 1분기 시총 톱 100 순위도 요동쳤다. 8개 주식 종목은 올해 연 초만 해도 시총 100위에 이름을 올렸으나, 지난 3월 말에는 탈락하고 말았다. 거꾸로 시총 100위에 새로 이름을 올린 곳도 8곳 나왔다.

금양은 올해 연초 시총 순위가 178위(1조3천612억원)였는데, 지난 3월 말에는 75위(4조5천569억원)로 3개월 새 103계단이나 전진하며 시총 톱 100에 입성했다. 코스모신소재도 160위에서 70위로 90계단이나 점프했다. 에코프로는 103위에서 22위로 81계단이나 순위가 앞당겨지며 시총 20위권에 진입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이 외 ▲DB하이텍(1월 초 159위→3월 말 93위)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116위→96위) ▲셀트리온제약(113위→98위) ▲포스코인터내셔널(105위→84위) ▲쌍용C&E(101위→99위) 종목도 올 3월 말에 시총 톱 100 명단에 새로 합류했다.

이와 달리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올 초 시총 순위 95위(2조9천779억원)에서 3월 말에는 135위(2조2천39억원)로 40계단이나 후퇴하며 시총 100대 기업권 밖으로 밀려났다. 또 ▲한국가스공사(93위→125위) ▲현대미포조선(89위→116위) ▲현대로템(94위→115위) ▲GS리테일(97위→109위) ▲롯데지주(92위→107위) ▲한국금융지주(98위→104위) ▲씨에스윈드(100위→102위) 종목도 최근 3개월 새 시총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올 1분기 시총 상위 톱 20 판세도 요동쳤다. 상위 20곳 중 삼성전자(1위), LG엔솔(2위), 현대차(7위), 네이버(8위), 기아(9위), 현대모비스(15위) 이렇게 6곳은 올해 연 초와 3월 말 시총 순위에 변동이 없었지만, 나머지는 모두 자리가 바뀌어졌다.

시총 상위 20곳 중 가장 눈에 띄게 앞선 곳은 '에코프로비엠'이었다. 이 종목은 올 1월 초만 해도 시총 순위 38위였는데, 3월 말에는 12위로 올라서는 저력을 발휘했다. 반대로 연초에 시총 20위에 포함됐던 삼성생명은 3월 말에는 24위로 시총 톱 20에서 빠지는 쓴맛을 봤다.

3~4위와 5~6위 자리다툼도 치열했다. 올해 초 시총 3위에 이름을 올렸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위로 밀렸지만, SK하이닉스는 4위에서 3위로 순위가 한 계단 전진했다. 5~6위권에서도 LG화학과 삼성SDI 간 순위가 엎치락뒤치락했다. LG화학은 5위에서 6위로, 삼성SDI는 6위에서 5위로 1분기에 순위가 자리 바꿈이 이뤄졌다.

올해 초 시총 톱 10에 포함됐던 카카오는 3월 말에는 11위를 기록하며 시총 상위 10걸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와 달리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초 11위에서 3월 말에는 10위로 시총 순위로 열 손가락 안에 들었다. 카카오 시총이 16% 정도 오를 때 포스코홀딩스는 35.3%로 배 이상 증가하면서 시총 10위에 진입하는 뒷심을 발휘했다.



3월 말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 중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에코프로비엠의 지주회사인 '에코프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종목의 올 1분기 시총 증가율만 해도 363.8%나 퀀텀점프했다. 2조7천730억원(1월 초)이던 시총은 12조8천602억원(3월 말)으로 올 1분기 시총 외형만 10조원을 훌쩍 넘겼다.

에코프로의 시총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이 회사의 최대주주인 이동채 상임고문의 주식재산도 올해 초 5천358억원에서 3월 말에는 2조5천31억원 이상으로 평가됐다. 이는 지난 3월 말 SK그룹 최태원 회장(2조2천401억원)과 LG그룹 구광모 회장(2조780억원)이 보유한 주식평가액보다 더 높아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가 지분 투자한 로봇 제작업체인 레인보우로보틱스 역시 올 초 5천471억원에서 3월 말에는 2조4천126억원으로 3개월 새 시총 증가율이 340.9%나 고공행진했다. 또 ▲금양(234.8%) ▲코스모신소재(192.6%) ▲카나리아바이오(180%) ▲이수화학(164.5%) ▲에코프로비엠(140.4%) ▲삼아알미늄(138.1%) ▲코스모화학(134.1%) ▲하림지주(119.3%) 등도 올 1분기에 시총 상승률이 100%를 상회했다. 이 중 금양 최대주주인 류광지 회장의 지난 3월 말 주식재산도 1조8천36억원으로 2조원에 근접한 것으로 파악됐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 1분기 주식시장에서는 '충'청 지역에 법인을 두거나 2차 '전'지와 '화'학 관련 종목을 의미하는 이른바 '충·전·화' 종목들이 주식시장의 열기를 끌어올리는데 일조했다"며 "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충북 청주시), 레인보우로보틱스(대전 유성구), 코스모신소재(충북 충주시), 카나리아바이오(충남 천안시), 미래나노텍(충북 청원군), 에코앤드림(충북 청주시) 등이 충청권에 법인 주소지를 두고 있는데, 올 1분기에만 시총이 100% 넘게 상승한 종목들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