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저 수준인 우리나라의 출생률이 남성의 소득 불평등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과 출산 의향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은 해석을 내놨습니다.
보고서는 저출생 현상이 여성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점 등에서 우리나라 남성의 소득 수준과 혼인율의 상관관계에 주목했습니다.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변수를 배제하기 위해 2017~2019년 통계를 활용했습니다.
한번이라도 결혼한 적이 있는 비율을 일컫는 혼인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7~2019년 기준 20대 중후반(26~3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1분위)는 8%만 결혼 경험이 있지만, 소득 상위 10%(10분위)는 29%가 결혼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30대 초중반(31~3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31%, 상위 10%는 76%가 결혼 경험이 있었습니다. 30대 중후반(36~4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47%, 상위 10%는 91%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에 따른 혼인 비율 차이는 40세 이상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14일 '노동과 출산 의향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비단 여성의 문제만은 아니고, 남성의 혼인 지연에 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남성 소득 수준과 혼인율의 상관관계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2017∼2019년 통계를 활용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변수를 배제하기 위해 2019년을 가장 최근의 분석 연도로 삼았다.
한 번이라도 결혼한 적이 있는 비율을 일컫는 혼인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득 수준에 따른 혼인 비율 차이는 40세 이상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2017∼2019년 기준 20대 중후반(26∼3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1분위)는 8%만 결혼 경험이 있지만, 소득 상위 10%(10분위)는 29%가 결혼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0대 초중반(31∼3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31%, 상위 10%는 76%가 결혼 경험이 있다. 30대 중후반(36∼4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47%, 상위 10%는 91%다.
40대 초중반(41∼4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58%, 상위 10%는 96%다. 40대 중후반(46∼5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73%, 소득 상위 10%는 98%가 혼인을 해봤다.
고소득 남성들은 30대 후반 이후 혼인 비율이 급속히 높아지지만, 저소득 남성들은 미혼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특히 남성 임금의 불평등도가 커지면 결혼에 필요한 소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남성이 늘어 결혼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곽은혜 부연구위원은 "남성들의 평균적인 경제력이 과거보다 개선됐는데도 혼인율은 감소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남성의 소득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고소득 남성들은 30대 후반 이후 혼인 비율이 급속히 높아지지만, 저소득 남성들은 미혼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특히 남성 임금의 불평등도가 커지면 결혼에 필요한 소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남성이 늘어 결혼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보고서는 “남성들의 평균 경제력이 과거보다 개선됐는데도 혼인율은 감소하고 있다”며 “남성의 소득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저출생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40대 취업자 수가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7월 1천 명 감소한 것을 시작으로 8월 8천 명, 9월 1만 7천 명, 10월 1만 1천 명, 11월 6천 명, 12월 5만 7천 명씩 전년 동월보다 줄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1월 6만 3천 명, 2월 7만 7천 명, 3월 6만 3천 명, 4월 2만 2천 명씩 줄어들며 감소 폭이 더 커졌습니다.
이 기간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가 지속해서 감소한 연령대는 40대가 유일합니다.
30대와 50대, 60대 이상의 취업자는 꾸준히 증가했고, 20대도 지난해 10월까지는 증가하다 11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전체 취업자 수도 계속 증가했습니다.
감소한 40대 취업자의 대부분은 남성입니다.
취업자 감소 흐름이 시작한 지난해 7월 이후에도 여성 취업자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남성 취업자는 지속해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경제 > 일상생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신청기간, 신청방법 한방에 정리! 누가 혜택을 보나? (0) | 2023.06.09 |
---|---|
애플페이 도입이후 매출액은 늘었을까? 삼성페이도 유료결제로 변환하나? (1) | 2023.06.03 |
전기차 유지비가 전기요금 인상으로 올라간다고? 유지비는 어떻게 될까? (4) | 2023.05.22 |
한국전력 요금 인상 4% 수준? (8) | 2023.05.15 |
개인회생 신청 최대치 도달.. 개인회생 단점, 개인회생 준비는 어떻게 해야할까? (2) | 2023.04.13 |
댓글